노령화에 따른 가장 보편적인 증상은 근육의 약화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생리학적 시스템의 감소가 일어나며 근육 조직이 점점 소실되고, 그 크기와 힘이 떨어진다. 이러한 상태를 '근감소증(sarcopenia)'이라고 한다. 이는 과거 자연스러운 노화의 한 과정으로 여겨졌지만, 최근 그 위험성이 밝혀지며 대비해야 할 '질병'으로 인식이 바뀌고 있는 증상이다.그간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근감소증은 각종 질환의 도화선이 된다. 국내 연구진에 따르면 근감소증은 심혈관질환 및 사망률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이며 당뇨 발생 및 폐 건강과도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근감소증은 알츠하이머병 치매 발생에도 영향을 미친다.
빠지는 근육, 뇌 건강도 앗아간다여의도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임현국 교수 연구팀은 다중 뇌영상을 이용하여 근육감소로 인한 인지기능 저하 원인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연구팀은 ‘가톨릭 노화 뇌영상 데이터 베이스’에서 528명의 치매가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근육량과 근육강도, 신체기능 등을 통한 근감소증 점수와 뇌 mri로 측정한 대뇌 피질 두께, 해마 부피, 백색질변성의 정도, 뇌 아밀로이드-pet에서 측정된 대뇌 아밀로이드의 침착도, 그리고 인지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했다.분석 결과, 근육량이 적을수록 알츠하이머병의 유발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축적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 확인됐다. 근력이 약할수록 측두엽 대뇌 피질 두께가 얇아지고, 근기능이 떨어질수록 양측 섬엽 두께가 위축되는 현상을 보였다.반대로 높은 근육량은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축적을 억제하고, 높은 근력은 백색질변성을 막아 뇌 외축 및 인지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었다. 좋은 근육기능은 근육량과 강도와 달리 직접적으로 뇌 위축 보호 및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김성한 임상강사(제1저자)는 “고령에서 근육의 양, 강도 및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 뇌 퇴행성 변화와 인지기능 저하를 막는 데 중요하다”라고 밝혔다. 임현국 교수는 “근감소증 관련 신체 상태에 대한 의학적 접근이 치매 발병 위험을 줄이기 위한 새로운 치료 목표가 될 수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의 의의를 전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알츠하이머병학회에서 발간하는 공식 학술지인 ‘알츠하이머즈 앤 디멘시아((alzheimer’s & dementia)’ 6월호에 게재됐다.
특별한 치료제 없어, 최선의 대처법은…하이닥 마취통증의학과 상담의사 하걸 원장(하하호호마취통증의학과의원)은 “근감소증은 아직 연구가 진행 중인 질환으로, 확실한 치료법이 없다”라고 말한다. 치료 주사나 약물이 없는 질환으로, 현재로서는 단백질 보충과 운동이 유일한 치료법이라는 것이 하 원장의 설명이다.단백질은 근육의 구성 성분으로, 부족할 시 근육에 저장되어 있던 단백질이 사용되어 근감소증을 유발·악화할 수 있다. 따라서, 평소 단백질이 부족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인 단백질 권장량(1일 기준 )은 체중 1kg당 0.8~1.2g이다. 근감소증 환자는 이보다 많은 1kg당 1.2~1.5g이 권장되나 각 환자의 상태에 따라 권장량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결정하길 권한다.운동도 중요한데 특히, 국립보건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연구를 살펴보면 저항성 운동(근력 운동)을 꾸준히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항성 운동의 빈도와 근감소증 위험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주 3일 이상, 적어도 1년 이상 지속하면 근감소증 위험을 20%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 특히 저항성 운동을 24개월 이상 지속한 경우에 효과가 극대화되어 주 3~4일 및 주 5일 이상 수행한 경우 모두 근감소증 위험이 각각 45%씩 감소했다.다만, 노년층의 경우 갑자기 과하게 저항성 운동을 하면 부상 위험이 높고, 오히려 질환을 유발?악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처음 저항성 운동을 할 때는 가벼운 무게로 천천히 운동 강도를 높여가는 것이 좋다. 만약 근육이 너무 없다면 의자에 앉았다가 일어나기, 까치발 들기처럼 자신의 무게를 이용한 운동부터 시작하길 권한다.도움말 = 하이닥 상담의사 하걸 원장(하하호호마취통증의학과의원 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