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jrigjwwe9r3edt_lecture:conts

사람은 누구나 깨어 있을 때 무엇인가를 항상 생각하거나 느끼고 있는데 이런 것들을 의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깨어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는데요. 하지만 외상이나 질병 또는 중독 등에 의해 의식 수준에 이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의식 수준 이상에는 착란, 섬망, 혼미, 혼수, 식물인간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착란..대부분 지남력(指南力)상실 일어나..착란이란 적절히 사고하고 인지하며 자극에 대해서도 적절히 반응하고 기억하는 능력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착란의 상태에서는 지남력(指南力)의 상실이 나타나는데 지남력 상실은 현재를 세계2차 대전 전시 상황이라 생각하거나 병원에 있으면서 회사에 있다고 생각하는 것
착란의 양상에는 다양한 단계가 있어서 최초의 의식 혼탁에서부터 매우 깊은 착란까지 나타날 수 있으며, 집중력이나 기억력의 상실로 자신의 생각을 적절히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를 포함합니다. 그러나 착란은 실어증, 기억상실증, 급성 정신분열증, 심한 퇴행성 우울증과 는 구분되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착란 환자에서는 다양한 뇌파의 변화가 나타나며 대뇌기능의 광범위한 저하를 동반하는데, 일부 환자에서는 대뇌의 산소 소비가 줄어들기도 합니다. 이러한 착란은 대사 이상이나 독성 물질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으며 노인에게서 흔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섬망..현실감 저하, 불안정, 환각이 일어나..섬망이란 의식장애와 내적인 흥분의 표현으로 볼 수 있는 운동성 흥분을 나타내는 병적 정신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지남력 상실과 망상, 운동성 부조화 등을 보이는 상태입니다.
섬망의 상태에서는 현실감이 없고 불안정하며 환각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는 놔파의 변화와 독성, 대사성 병변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열이 나는 질병에 의한 의식장애에서 나타나는 열성섬망에서 무슨 뜻인지 모르는 말을 하는 소위 헛소리나, 알코올의 과음을 주원인으로 하는 진전섬망 등은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섬망은 퇴행성 뇌 병변과 급성 정신분열증, 경조증과 혼동되기 쉽습니다. 섬망도 퇴행성 질환을 갖고 있는 노인에게서 흔하고 혼수의 전조 증상이기도 합니다.
혼미.. 자발적인 활동성을 보이지 않는 상태..혼미란 의식의 소실은 없으나 자발적인 활동성를 보이지 않고 있는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사고 능력이 있는 것처럼 보이나 강한 자극에 대해서도 반응하지 않고 제한된 움직임만 보이고 자극이 사라지면 즉시 수면으로 빠져드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러한 혼미 상태는 긴장성 정신분열이나 심한 우울증에 의한 증상과 구별되어야 합니다.
혼수..자극에 반응이 없는 상태..혼미한 환자는 강력한 자극을 줄 때만 반응하는 반면 혼수상태란 환자가 반사적인 움직임과 자세는 보이지만 외부 자극이나 내적인 필요에 의한 반응이 전혀 없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깨울 수 없는 의식소실 상태를 말합니다.
혼수의 양상은 눈 뜨는 것과 운동, 언어구사 등이 전혀 안 되는 상태에서 미미하지만 통증자극에 대해 굴곡반응이나 미세한 신음소리 정도의 소리를 내는 상태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혼수는 심각한 중추신경계 질환의 주요 합병증의 하나이며, 양측성 대뇌 기능장애나 뇌간 망상 활성체계에 이상을 초래하는 간질, 저체온, 대사이상 또는 구조적인 병변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한쪽 뇌의 종양성 병변은 뇌간을 압박함으로써 혼수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두뇌손상, 약물중독, 감염, 혈관성질환, 저산소증, 허혈성 손상 등의 경우에도 흔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드물지만 명확한 기질적 병변 없이 나타나는 가성혼수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갑자기 발생한 혼수는 지주막하 출혈, 뇌간부 뇌졸중, 또는 뇌출혈 등을 의미하며 서서히 발생하고 진행하는 혼수는 구조적인 병변이나 종양성 병변을 시사합니다. 대사성 원인인 경우에는 중독상태나 불안정한 섬망 상태가 선행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식물인간..각성 혼수..심한 양측성 뇌질환이 있는 환자는 처음에 혼수상태에서 약간 회복되어 깨울 수 있지만 움직임이 없고 인지나 고위 뇌기능의 증거가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식물인간 상태는 무동무언증 또는 각성 혼수라고 불립니다. 이 상태에 있는 대부분의 환자는 수개월 또는 수년 내에 사망하게 되지만, 부분적인 회복이 일어나기도 하며 드물게는 의사소통이 가능해지거나 독립적인 생활을 할 정도로 회복되기도 합니다.